설화는 죽지 않는다: 현대 문학 속 다시 살아난 이야기들
1. 오래된 이야기누가 이야기의 유통기한을 정했을까? 산신령, 호랑이, 처녀귀신이 나오는 이야기를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런 설화들이 한국 현대문학 속에서 다시 걷기 시작했다. 허공에 ‘털썩’ 내려앉은 먼지처럼, 아주 조용하게. 설화란, 구전되어 내려오는 이야기들이다. 보통 ‘전래동화’ ‘민간신화’ ‘옛날이야기’로 불렸고, 구체적인 작가는 없지만, 이야기의 뼈대는 상상력과 삶의 지혜로 다져졌다. ‘흥부전’에서 ‘심청전’까지, 이 이야기들은 한 마디로 말하면, “살아남기 위해 꾸며낸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말들”이다. 1980년대 이후, 문학이 단순한 리얼리즘을 넘어서기 시작하면서, 작가들은 전통 설화 속 인물들과 플롯을 다시 호출한다. 대표적으로 박상륭 작가의『칠조어..
2025. 7. 14.
1인칭, 3인칭, 그 사이를 걷는 문장들: 한국 문학에서 시점
1. 시점이라는 문학적 렌즈문학에서 ‘시점’이란, 이야기를 누구의 눈으로, 누구의 목소리로 보는지 결정하는 렌즈다. 1인칭(나), 3인칭(그/그녀), 전지적 작가 시점(모두 아는 신), 그리고 때론 ‘혼잣말처럼’ 되어버린 흐릿한 시점까지… 선택하는 시점에 따라 이야기는 눈빛과 눈물, 심지어 냄새까지 달라진다. 이 개념을 체계화한 사람은 러시아 형식주의 연구자이자 서사 이론가인 블라디미르 프로프와 게랄트 게나트 같은 이들이다. 그중에서도 미국의 내러티브 이론가 제럴드 프래터는 ‘시점에 따라 독자가 사건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감정 이입을 하는지’를 명확히 구분했다. 2. 한국 문학의 시점 탐색처음 1인칭은, 마치 손 편지 같은 친밀함을 줬다. 예컨대 이태준의「해방 전후」에서는 ‘나’를 중심으로 일상의 ..
2025. 7. 11.